티스토리 뷰
목차
암 진단을 받으면 환자와 가족은 신체적, 정신적 부담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어려움도 겪게 됩니다. 이를 돕기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다양한 의료비 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보건소를 통한 암환자 의료비 지원도 그중 하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보건소에서 제공하는 암환자 의료비 지원금의 신청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으니 3분여의 시간을 내어주시기 바랍니다.
다만 바쁘시어 빠르게 신청하실 분은 아래의 버튼을 이용하여 신청을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보건소 암환자 의료비 지원 제도란?
보건소에서는 암환자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암 치료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하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지원금은 국가 예산 또는 국민건강증진기금에서 지급되며, 암의 종류와 환자의 경제적 상황 등을 고려하여 제공됩니다. 이를 통해 암환자와 그 가족이 치료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2. 지원 대상 및 선정 기준
암환자 의료비 지원은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환자들에게 제공됩니다. 지원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소아·아동암 환자
- 등록 신청일 기준 18세 미만의 아동
- 악성신생물(C00~C97), 제자리신생물(D00~D09), 행동양식불명 및 미상의 신생물(D37~D48) 중 원발성 악성 신생물 진단 환자
(2) 성인 암환자
- 국민건강보험 가입자 및 피부양자 중 차상위 본인부담 경감대상자인 암환자
- 의료급여수급자 중 암환자
또한, 소득 및 재산 기준도 충족해야 합니다.
(가) 소득 기준
가구원 수에 따른 소득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원 수 | 소득 기준 (원) |
---|---|
1명 | 2,674,134 |
2명 | 4,419,131 |
3명 | 5,657,588 |
4명 | 6,875,896 |
5명 | 8,034,882 |
6명 | 9,142,043 |
7명 | 10,217,993 |
8명 | 11,293,943 |
(나) 재산 기준
가구원 수에 따른 재산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원 수 | 재산 기준 (원) |
---|---|
1명 | 361,127,914 |
2명 | 402,974,388 |
3명 | 432,673,597 |
4명 | 461,889,568 |
5명 | 489,683,022 |
6명 | 516,233,669 |
7명 | 542,035,827 |
8명 | 567,837,986 |
3. 지원 금액
지원 대상자로 선정되면 다음과 같은 금액이 지급됩니다.
(1) 소아·아동암 환자
- 백혈병: 최대 3,000만 원
- 백혈병 이외의 암종: 최대 2,000만 원 (조혈모세포 이식 시 최대 3,000만 원)
(2) 성인 암환자
- 차상위 본인부담 경감대상자: 최대 300만 원
- 의료급여수급자: 최대 300만 원
4. 신청 방법
보건소 암환자 지원금을 받기 위해서는 다음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1) 신청 장소
암환자 본인의 주민등록지 관할 보건소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2) 제출 서류
- 암환자 의료비 지원 등록 신청서
- 암 진단서 (최종 진단 상병명, 상병코드, 진단일자 포함)
- 개인정보 이용·제공 동의서
- 위임장 (환자 본인이 신청하지 않는 경우 필요)
- 건강보험증 또는 의료급여증 사본
5. 신청 시 주의사항
- 신청은 진단 후 일정 기간 내에 해야 하므로, 보건소에 사전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제출 서류가 누락되면 신청이 반려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모든 서류를 준비해야 합니다.
- 의료비 지원금은 중복 지원이 불가할 수 있으니 다른 지원제도와의 중복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6. 마무리
암환자 의료비 지원금은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치료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신청 대상 및 조건을 꼼꼼히 확인하고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여 보건소에서 지원을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관련 문의는 관할 보건소 또는 보건복지부 상담센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꼭 필요한 지원을 놓치지 말고 활용하시길 바랍니다.